본문 바로가기
일상

금연하는 가장 쉬운 방법

by heykwon 2018. 8. 11.
반응형

과거, 금연을 하였던 기억을 되새기며 작성합니다.

일단 현재는 흡연자로 남아있습니다만 그당시에는 이 방법으로 담배가 정떨어졌다 싶을정도로 담배에 손을 대지 않게 되었었고,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동안 금연자로 남아있을 수 있었습니다.


금연 '네 의지가 부족해서 그래'

금연은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많은 비협연자 또는 금연자들이 말한다.

이 말에 대해서는 현재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도 이해를 하고 인지를 하고 있는 말이다.

"난 '이제 담배 안펴야지!'하고 마음먹고 그 이후로 아예 끊었어! 넌 의지가 부족해서 못끊는거야"

오래전에 아는 형님이 나에게 했던 말이다.

그당시 나는 속으로 이렇게 생각했었다.

'그건 니 얘기고.. 난 아직 담배를 사랑해'

20대였던 나는 담배 냄새가 싫었을뿐 담배를 끊어야할 이유가 많지 않다고 느꼈다.



담배를 끊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

이게 가장 중요하다.

왜 못끊는걸까?

끊기 싫어서? 끊기가 싫었다면 아예 끊을 생각을 안했을 것이니 못끊는다는 표현은 맞지 않는듯해 보인다.


개인적으로 아는 지인분들 중 금연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사람들이 가장 많이 말하는 공통적인 부분은 '그 한순간을 참지 못했다'였다.

어떤 한순간을 말하는 것일까?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그 한순간을 참지 못하여 다시 담배를 폈다."

"친구가 담배를 태우는 모습을 보고 그 한순간 참지못하여 실패하였다."

"잘 참아왔는데 술자리에서 한순간에 실패해 버렸다."

등등. 평소에는 참을만 했으나 한순간의 유혹,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대부분 다시 흡연을 하였다고 하였었다.


이후,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면서 담배를 끊어야할 이유가 생겼다.

'이젠 정말 끊어야겠다'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이때까지도 나는 담배를 좋아하고 있었고, 내 개인적인 의지보다는 담배로 인해 아이가 좋지 않은 영향을 받을까봐 걱정되었던 마음과 아내의 지속적인 설득으로 금연을 시도하기로 마음 먹었었다.


오래전 아는형이 했던 '난 안필려고 마음먹으니 끊어졌어'라는 말이 떠올라 그렇게 시도를 해보았으나 어림도 없었다.


그저 그렇게 참는건 다른사람에게나 맞는 방법이었다.

'금연껌으로 끊었다'는 사람도 있고, '패치로 끊었다'는 사람도 있고, '사탕으로 끊었다', '빨대로 끊었다' 등등.

금연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개인마다 자신에게 맞는 방법으로 성고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나에게 맞지 않았다.


이러한 방법이 맞지 않는다고 느낀데에는 확실히 끊고자 하는 의지보다 아직도 좋아하는 마음이 더 커서 인듯했었다.

20대때에는 담배를 끊어야할 이유가 많지 않았고, 30대가 되어서는 담배를 끊어야할 이유가 생겼으나 아직도 담배를 좋아한다는 마음이 사라지지가 않았다.


'끊어야 하는데, 끊고싶지 않아'

이런 개똥같은 생각이 내머릿속에 남아있었다.


뭐가됬든 내 의지로는 끊을 수 있을것 같지가 않아서 결국, 병원을 찾았다.


금연을 하기 위해, 담배를 끊기 위해 내가 경험하고 아는 선에서는 이게 가장 쉬운 방법이다.


금연을 해야하는데 자신의 의지로는 쉽지가 않다면, 금연치료 및 지원이 가능한 병원을 검색하여 가장 가까운 곳에 방문하라.


아무리 담배를 좋아하더라도 의시가 시키는데로만 잘 따라가면 담배를 쉽게 끊을 수 있다.


담배를 좋아하는 마음, 금연치료를 받다보면 담배에 대한 애정은 싹 없어지게된다.

정떨어진다.

담배냄새가 토할것 같다.

식사 후 옆에서 담배를 태우는 동료의 모습을 보고있으면 전에는 '부럽다', '맛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치료를 받으면서는 '저리 가서펴', '밥맛 떨어져', '제발 너도 좀 끊어'로 바뀌게 된다.


치료 후 담배와는 완전 담을 쌓고 살 수 있었고, 꽤 시간이 지난 후 어떠한 충격으로 인해 현재는 다시 흡연을 하고 있으나 정말 이 방법은 아직도 담배를 끊기에 가장 쉬우면서도 가장 간단한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검색하고 알아본 후 가장 가까운, 자주 방문하기 쉬운 병원을 찾아보라.


관련 글

[육아] - 금연 성곤한 사람들의 특징

반응형